해당 게시글은 기록과 자료 공유를 위해 작성합니다.
회원가입 및 기타 세팅은 생략합니다.
콘솔에 로그인을 하고 난 후, 서비스 선택 탭에 들어가 컨테이너 서비스의 NKS, NCR, NCS 활성화를 하여 주세요.
서비스 신청(활성화)이 완료가 되고 나면, 좌측 탭의 컨테이너에서 NKS를 선택합니다.
각 요청에 따른 필수 탭을 기입 한 후 생성을 진행하면 되는데, k8s, 파드 네트워크의 경우 기존 VPC와 되도록이면 다른 대역대로 설정하는 것이 네트워크 구성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후 가용성 영역과 인스턴스 타입, 필요한 노드 수를 선택합니다.
추가 네트워크 주소가 필요 할 경우, 하단의 서브넷을 추가하여 네트워크를 추가합니다.
오토스케일러의 설정 유 무, 워커 노드 프로비저닝 시 사용자 스크립트가 필요할 경우 해당 스크립트를 추가하여 VM 생성을 진행합시다.
마지막으로 NHN Cloud의 경우 클러스터의 마스터 노드 권한이 없기 때문에, 클러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콘솔이 별도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NKS 생성이 진행되는 동안 일반 인스턴스 타입을 하나 더 생성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가 되면, 인스턴스에 접속을 한 후 kubectl 설치를 진행합니다.
저는 yum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공식 문서를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https://kubernetes.io/docs/tasks/tools/install-kubectl-linux/
sudo -i
cat <<EOF > /etc/yum.repos.d/kubernetes.repo
[kubernetes]
name=Kubernetes
baseurl=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repos/kubernetes-el7-\$basearch
enabled=1
gpgcheck=1
gpgkey=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doc/rpm-package-key.gpg
EOF
yum install -y kubectl
kubectl 설치가 완료되면, 연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NKS 콘솔에서 config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기입합니다.
작성된 예시는 아래 코드와 같습니다.
cd ~
mkdir .kube
touch .kube/config
cat <<EOF > .kube/config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data: 사용자마다 다릅니다.
server: https://사용자마다 다릅니다.
name: "toast-ysh-kube-test"
contexts:
- context:
cluster: "toast-ysh-kube-test"
user: admin
name: default
current-context: default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 name: admin
user:
client-certificate-data: 사용자마다 다릅니다.
client-key-data: 사용자마다 다릅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클러스터 및 관리 서버 구성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Virtualiz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helm 설치 및 기본 사용법 (0) | 2024.07.30 |
---|---|
[도커] SPT fika 도커로 구동하기 (0) | 2024.07.15 |
[NKS] 프라이빗 레지스트리 (NCR) 사용하기 (2) | 2023.11.21 |
[쿠버네티스] kubectl 치트시트 (명령어 자동 완성) (0) | 2023.10.04 |
쿠버네티스 (0) | 2023.09.15 |